KOREAN
-
Contents
OECD 공공행정위원회 산하 공공고용 및 관리 네트워크(PEMN) 근로에 관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OECD 사무국은 해당 공공행정지역개발국을 통해 근로자 보상삭감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경제금융위기 발생 당시부터 채택된 전략들에 대한 검증에 착수했다. 임금 및 급여제도는 정부고용자들에게 있어 가장 규모가 큰 관리가능비용 중 하나이다. 급여제도 구조 및 관리의 변경은 단지 긴축재정조치에 국한되지 않고, 사실상 비용을 보다 완만하게 감축시키기 위해 정부를 재편하는 보다 광범위한 계획의 일부이다. 금융위기는 더 낮은 운영비용에 대한 즉각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동시에 장기적으로 효과적인 계획을 수립하도록 공공부문의 보상 모델에 대한 재고가 반드시 성사되게끔 하였다. 본 보고서의 목적은 예산위기에 대처하고 비용효율적인 방식을 통한 정부의 목표를 달성하는 수단으로서 보상계획 및 관리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시행하여 회원국들이 위와 같이 재고하도록 하는 것이다. 주로 임금 및 급여에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금전적 지원 및 공제에도 어느 정도 중점을 둔다.
-
Index
제 1 장 : OECD 국가 공무원에 대한 현 보상체계 동향 ...............17
서론 ......................................................................................... 18
재정건실화의 과제 ........................................................................ 18
급여 총액 및 인건비 감축 계획 ............................................ 22
공공부문 직업별 보상 비교 .............................................. 30
노동력 관리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는 보상삭감 .......... 35
결론 .................................................................................... 38
주석 .................................................................................. 39
참고자료 .................................................................................... 40
제 2 장 : 변화하는 세계의 공공부문 보상체계 관리 .................. 41
서론 ........................................................................................... 42
중요한 기로에 선 정부 보상체계 .................................. 42
보상의 목적 ......................................................................... 44
인건비 통제는 총 보상 패키지 관리의 핵심이다.................................. 46
적절한 급여수준 설정을 위한 정확한 직무기술서 개발 ........... 49
내부 및 시장 급여실정 간 균형 맞추기 ............. 51
개별화된 급여 확대로 이어진 지식 직무의 증가 ......................... 57
인원감축, 구조조정과 급여 관리 ................................. 59
보상관리의 최우수 관행 .......................................................... 63
결론 .................................................................................. 65
주석 .......................................................................... 66
참고자료 ..................................................................... 67
제 3 장 : “신 공공관리” 시대 이후의 보상 관리 .......... 68
서론 .............................................................................. 69
보상관리 변화의 필요성 .......................................................... 70
급여관리를 위한 급여표의 활용 .................................... 72
최고 장애물 ? 성과급제로의 성공적인 전환 .......... 79
재능있는 사람을 유지하는데 있어 시장요소의 새로운 중요성 ........ 94
효과적으로 공공(기관) 관리자 포상하기 ....................... 94
급여와 양성평등 ...................................... 100
결론 ............................................. 102
주석 ............................................................. 103
참고자료 ........................................................... 104
제 4 장 : 공공부문 보상계획 관할정책 및 관행 .............................. 105
서론…………… ..................................................... 106
활용 가능한 보상 자료 .................................. 106
단체교섭 및 급여계획 ..................................... 107
급여계획을 통지하기 위한 노동시장조사 활용 시 고려사항 ..................................................................... 110
급여 조정을 위한 물가상승률 자료 활용 시 유의사항 ............. 113
급여조정금액 할당방식 .......................... 114
추가지급 계획 및 관리: 수당과 상여금 ...................................... 119
종합적인 보상관리단계 설정 .............................................. 121
결론 .................................................... 123
참고자료 ................................................ 124
제 5 장 : 정부 보상체계 개혁 시 핵심 고려사항 ............................ 125
참고자료 ................................................. 131
부록 A 인사관리 사안에서 노조 개입의 범위와 재정 지원의 출처, 2010 ............................................. 133
부록 B 급여 협상과 결정 ................... 136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