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대한민국 정책센터

navi list

KOREAN

  • Contents

    위험관리에 대한 정부와 민간부문의 인식은 최근 수년 사이에 극적으로 증가했다. 대규모 재난들은 국가 및 지역적 수준의 공공정책에 있어 어려운 문제들로 인식되어 왔다. “글로벌 쇼크”란 개념은 차별적 패턴의 위험, 즉, 보건, 기후, 사회, 금융 시스템 어느 한 곳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위험으로서 글로벌 시스템 전반으로 확산될 때 능동적인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는 패턴의 위험을 가리키고 있다. 상호의존적인 대규모 시스템에서의 위험과 글로벌 시스템 전반에 걸친 위험의 확산에 대한 연구는 이제껏 미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중요한 결과들 중에서 공공정책의 견지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내용은 감시(surveillance)가 위험평가 및 관리에서 핵심적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는 인식이다. 모델링과 데이터 배열 등의 최신 지식 관리(knowledge management) 수단들 덕분에 주요 글로벌 위협들을 예측할 수 있는 유래 없는 기회를 얻게 되었으며, 세계의 공공정책 관리자들은 점점 그러한 수단들을 활용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둘째, 국가 및 국제적 수준에서 좀 더 회복력을 갖춘 시스템을 고안하기 위해 위험 평가수단들을 사용, 조정 및 실행함에 있어 규제 기구들과 협력 관계에 있는 보안기구(security agencies)들의 역할이 강화되었다는 점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와 같이 새롭게 대두되는 트렌드를 강조하여 다룰 것이다.
  • Index

    제 1 장 ........................................................ 13
    서론 .................................................... 14
    미래 글로벌 쇼크란 무엇인가? .................. 15
    현재 진행 중인 미래 ................................................. 17
    글로벌 쇼크에는 국경이 없다 ............................ 17
    미래 글로벌 쇼크에 부정적 측면만 존재하는가? ............... 18
    미래 글로벌 쇼크의 동인 ........................ 19
    저서 목록 ............................................................................ 28

    제 2 장 ........................................................... 29
    서론 .................................................................... 30
    세계적인 유행병 ................................................. 32
    금융 위기 ................................................... 36
    사이버 위험 ................................................. 40
    지자기 폭풍 .................................................... 42
    증폭요소에 대한 지식부족 ................................... 44
    이차적 영향에 대한 설명 ........................................... 47
    미래 글로벌 쇼크에 대한 전망 ........................ 52
    결론 ................................................................... 58
    정책적 선택 ........................................... 58
    저서 목록 ............................................... 59

    제 3 장 ................................. 62
    서론 ...................................... 63
    복잡계의 분류체계화 및 모델링 ..................................... 63
    복잡계의 분류체계화 .................................................................. 66
    복잡계 모델링 .................................................................... 74
    지도와 모델: 상호 연관성에 대한 이해 .................. 78
    지도와 모델: 격차(gaps)는 어디에 존재하는가? ..................... 79
    결론 .............................. 81
    정책적 선택 .................... 81
    저서 목록 ........................ 82

    제 4 장 .............................. 83
    서론 ............................ 84
    감시체계, 감시와 조기경보시스템 ...................................................................................................... 84
    대응책, 예비 및 백업 시스템 .............................................. 92
    체계적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인센티브 구조 ....................... 102
    글로벌 쇼크 관리에 미흡한 기술과 지식 ............................... 106
    결론 .......... 108
    정책적 선택 ............. 108
    저서 목록 ................. 109
    부록 4.A1 ................. 112

    제 5 장 ............. 113
    서론 .................................. 114
    국제 협력 증진을 통한 역량 강화 ................................ 114
    글로벌 쇼크에 대한 사회적 회복력 구축 ............................... 124
    결론 ............................................................................... 134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