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대한민국 정책센터

navi list

KOREAN

  • Contents

    최근 디지털 보안위협과 침해사고가 점증함에 따라, 개인뿐만 아니라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의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거부나 사보타주 등으로 인한 업무활동 마비, 직접적 재정손실, 소송사건, 명예 훼손 등을 비롯한 기업비밀의 유출 등으로 인한 경쟁력 상실, 고객신뢰의 상실 등이 포함된다. 디지털 경제 편익을 충분히 누리기 위해서는 디지털 보안위험을 잘 관리해 나갈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점차 더 많은 이해관계자들이 깨닫고 있다. 30여년에 걸쳐서 OECD는 디지털 경제의 혁신과 신뢰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과 계기를 널리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오고 있다. 정보시스템과 네트워크 보안에 관한 지침: 보안문화를 향하여("보안 지침")(Guidelines for the Security of Information Systems and Networks: Towards a Culture of Security("Security Guidelines")와 관련된 2002년도 OECD 이사회 권고를 재검토하기 위해, 2012년에 디지털 경제의 보안과 프라이버스(Security and Privacy in the Digital Economy, SPDE)에 관한 OECD 특별조사위원회에서 시작한 다자간 이해관계자 절차가 성공을 거둠에 따라, OECD 이사회는 2015년 9월 17일에 본 권고를 채택하기로 결정한다.
  • Index

    소개
    전후 상황
    주요 개념
    이해관계자와 그들의 역할
    디지털 보안위험
    위험요인: 위협, 취약성 및 사고
    디지털 보안위험관리
    원칙의 적용가능성
    원칙
    전반적인 원칙 구조
    일반원칙
    운용원칙
    부록 - 앞으로 전개가능한 영역
    참고문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