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대한민국 정책센터

navi list

KOREAN

  • Contents

    본 보고서에서는 연구소의 초기 연구결과에 대해 요약, 설명하고 온라인 플랫폼 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혁신 사례와 2014년 11월 12~13일 개최된 OECD ‘공공부문 혁신: 개념에서 영향까지(Innovating the Public Sector: from Ideas to Impact)’ 컨퍼런스의 결과에 대해 살펴본다. 보고서에서는 공공부문 혁신에 대한 이해와 분석을 위한 틀을 제시하고, 구성원에 대한 권한 부여, 아이디어의 창출, 새로운 작업 방식의 채택 및 복잡한 규제 완화 등 조직의 혁신 수행 능력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에 대해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혁신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가 취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 Index

    1장 공공부문 혁신 관련 공공부문 인력에 대한 권한 부여 ................ 19
    서론 .......................................................................... 20
    구성원에 대한 혁신 관련 권한부여를 위한 조직 차원의 수단 ............ 23
    조직 문화, 리더십 및 혁신 조직 ........................................... 25
    주요 연구결과 ................................................................................. 28
    결론 및 과제 ....................... 29
    주석 ..................................... 30
    참고문헌 .............................. 30

    2장 공공부문의 혁신 아이디어 창출 및 공유 ...................................... 33
    서론 .................................... 34
    조직, 부문 내부 및 상호간 정보 확보 ...................................... 35
    정보 활용: 조직 학습 관련 의미의 도출 ......................................... 37
    정보 공유: 혁신 잠재력의 확대 ........................................... 39
    주요 연구결과 .................. 41
    결론 및 과제 ..................... 42
    주석 ..................................... 42
    참고문헌 ................................ 43

    3장 공공부문 혁신 지원을 위한 새로운 업무 처리 방식 ..................... 45
    서론 ..................................... 46
    혁신 능력 제고를 위한 공공조직 이외 부문에 대한 검토 ..................
    공공기관 이외 조직과의 협력 관계: 공공서비스의 공동-설계 및 공동생산 ...................... 50
    주요 연구결과 ............................................................ 54
    결론 및 과제 ........................ 54
    참고문헌 ................................. 55

    4장 공공부문의 기존 규칙, 프로세스 및 절차 내에서의 혁신 .................... 57
    서론 ...................................... 58
    정부 내부 규제의 명확화 및 간소화 .............................. 59
    혁신 추진을 위한 자원 유연성과 예산책정의 민첩성 및 실험 ....... 61
    실험적 방식에 의한 프로젝트 관리 및 서비스 디자인을 통한
    리스크 및 복잡성 관리 .......................................................... 62
    주요 연구결과 ................... 68
    결론 및 과제 ......................................... 68
    참고문헌 ............................. 69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