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tents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 개선 2016’은 정책입안자를 위한 지침을 제공한다. 새천년개발목표(MDG)에서 보편적인 지속가능한 발전의 틀로 전환하려면 과거에서 얻은 교훈을 토대로 현재의 접근법을 개선해야 하며,제도적 메커니즘이 SDG의 이행“목적에 부합”하도록 보장해야 한다. 이전판에서는 정책 일관성 렌즈가 식량안보, 불법자금 흐름, 녹색성장과 같은 특정주제에 적용된 분석이 포함되어 있었다. 2016년판은 과거의 분석과 경험을 기반으로하며,SDG를 일관된 방식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도적 메커니즘, 정책입안절차와 관행을 채택하려는 모든 정부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PCSD 틀”을 소개한다. -
Index
1장 발전을 위한 정책 일관성과 2030 의제 조율 ........ 34
서론 ................................................... 35
PCD 도전과제.................................. 35
약속을 이행하려면 PCD를 잘 이해해야 한다................... 36
정책 간 효과적인 인터페이스를 보장하려면 특정 권한이 필요하다.... 39
모니터링 시스템은 정책 변화에 영향을 주기 위해 강화되어야 핚다. ......41
PCSD로의 이동: PCD 경험에서 무엇을 배웠는가? ............ 42
참고 ........................................................ 44
참고문헌 .............................................. 45
2장 새로운 PCSD 틀 ........................ 47
서론 ...................................................... 48
분석 틀: PCSD 이행 ....................... 52
제도적 틀: 정책 칸막이에서 벗어나기........... 59
모니터링 틀: 일관성의 다양한 요소의 진행상황 추적 ................. 71
주석 ....................................................... 78
참고 ...................................................... 84
참고문헌 ............................................... 85
3장 정책 일관성과 식량안보 ........... 88
서론 ........................................................... 89
툴킷 ....................................................... 90
주석 ......................................................... 100
참고 ........................................................ 123
참고문헌 ............................................... 124
4장 정책 일관성과 불법자금 흐름 ............................ 127
서론 ..................................................... 128
툴킷 ..................................................... 131
주석 ........................................................ 139
참고 .......................................................... 169
참고문헌 ............................................ 171
5장 정책 일관성과 녹색성장 ......... 173
서론 ........................................................ 174
툴킷 ......................................................... 175
주석 ......................................................... 183
참고 ......................................................... 203
참고문헌 ................................................. 204
6장 PCD 진행상황 추적 .................. 207
서론 .......................................................... 208
OECD 데이터와 지표를 사용하여 SDG 상호작용 모니터링 ............. 209
SDG와 세부 목표 간 상호작용을 평가하기 위한 비OECD 이니셔티브의 개요 ..... 225
참고 ....................................................... 246
참고문헌 .............................................. 246
7장 2030 의제 이행을 위한 국가별 활동 .................250
Our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