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대한민국 정책센터

navi list

KOREAN

  • Contents

    현재 데이터, 특히 비공식 빅데이터 소스는 전세계 공식 통계분야에서 엄청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다양한 유형의 빅데이터(통신 데이터, 소셜미디어, 센서, 지리공간 데이터)를 활용하여 데이터 공백을메울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문헌이 다수 나와있으며, 특히 post-2015어젠다 및 이와 관련된 기술적인 어려움을 다루는 연구가 많다. 본 보고서는 빅데이터의 다양한 측면에 초점을 맞추되 중요성이 특히 높은 것에 집중하기 위해, 이러한 데이터를 생산하거나 사용하는 상업기관 및 통계청의 관점은 무엇이며 공식 통계분야에서비공식 데이터 소스를 활용하려면 어떠한 인센티브, 사업모델, 프로토콜이 필요한지를 다룬다.
  • Index

    1. 서문 ................................................................. 2
    2. 통계를 위한 민관협력의 개념화 ............ 5
    2.1. 통계를 위한 민관협력의 구성요소 ............. 5
    2.2. 통계를 위한 민관협력 - 기회와 과제 ........ 6
    2.3. 통계를 위한 민관협력의 기존모델 ............. 8
    2.4. 통계를 위한 개발도상국의 민관협력 .......10
    3. 사례 연구....................................................... 11
    3.1. 자체 생산모델 ? CenCell, AlertImpact 및 Smart Steps .......11
    3.2. 데이터 집합을 최종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체계적인 접근법 ? Orange의 ‘개발을 위한 데이터’ 챌린지 ..................................13
    3.3. 신뢰할 수 있는 제3자에게 데이터 집합 전송? 국제수지 통계를 위한 에스토니아의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여행 추계 .......14
    3.4. 소셜 미디어 데이터로 소비자 신뢰도를 예측한 네덜란드 통계청 ? 하이브리드 모델 .............17
    4. 교훈 ............................................ 19
    4.1. 민간부문은 데이터 공유를 통해 비재정적 혜택을 얻을 수 있다 ....19
    4.2.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접근법이 필요하다 ....................................19
    4.3. 세부성과 데이터 접근수준간 상충요인을 이해하라 .......................20
    4.4. 혼합방식을 사용하라 ....................................20
    4.5. 비용 효과적인 모델을 수립하라 ................21
    5. 발전방향 ........................................................ 22
    5.1. 단기적 방향 ? 중요한 데이터의 관리 .......22
    5.2. 장기적 방향 ? 신뢰, 교류, 지속가능성 ......................................22
    6. 결론 ................................................................... 25

LIST